뚜하가족의 일상을 기록

수하아빠의 육아일기/축구장 후기/수하엄마의 방구석 미싱/음식리뷰

수하네 블로그
728x90
반응형
SMALL

일반상식 486

외유내강(外柔內剛) 유래/정의/예시/활용/비슷한말 등

외유내강(外柔內剛) **외유내강(外柔內剛)**은 "겉은 부드럽고 속은 강하다"라는 뜻으로, 겉으로 보기에는 부드럽고 온화하지만, 속으로는 강인한 정신을 지닌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입니다. 유래 외유내강은 중국의 고전인 《논어(論語)》의 "위정편(爲政篇)"에 나오는 말입니다. "위정편"에서는 "외유내강(外柔內剛), 而有德者也(而有德者也)."라는 구절이 나오는데, 이는 **겉은 부드럽고 속은 강한 사람이야말로 덕을 갖춘 사람이다.**라는 뜻입니다. 정의 외유내강은 크게 두 가지 측면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첫 번째 측면은 겉은 부드럽고 온화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겉으로 보기에는 온화하고 친절하며, 사려가 깊은 사람이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두 번째 측면은 속은 강인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

일반상식 2024.01.09

양약고구(良藥苦口) 유래/정의/예시/활용/비슷한말 등

양약고구(良藥苦口) **양약고구(良藥苦口)**는 "좋은 약은 입에 쓰다"라는 뜻으로, 옳은 말이나 충고는 거슬리거나 불편할 수도 있지만, 그 이익은 크다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입니다. 유래 양약고구는 중국의 고전인 《시경(詩經)》의 "소아(小雅)"에 나오는 말입니다. "소아"에서는 "양약고구(良藥苦口), 忠言逆耳(忠言逆耳)."라는 구절이 나오는데, 이는 **좋은 약은 입에 쓰고, 충언은 귀에 거슬린다.**라는 뜻입니다. 정의 양약고구는 크게 두 가지 측면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첫 번째 측면은 옳은 말이나 충고가 거슬리거나 불편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옳은 말이나 충고는, 자신의 잘못이나 부족한 점을 지적하기 때문입니다. 두 번째 측면은 옳은 말이나 충고의 이익이 크다는 것을 의미합니..

일반상식 2024.01.09

전대미문(前代未聞) 유래/정의/예시/활용/비슷한말 등

전대미문(前代未聞) **전대미문(前代未聞)**은 "전대에 듣지 못하고, 지금도 듣지 못한 일"이라는 뜻으로, 전례가 없고, 새로운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입니다. 유래 전대미문은 중국의 고전인 《서경(書經)》의 "상서(尙書)"에 나오는 말입니다. "상서"에서는 "전대미문(前代未聞), 後代未聞(後代未聞)."라는 구절이 나오는데, 이는 **전대에 듣지 못했고, 지금도 듣지 못하며, 후대에도 듣지 못할 일이다.**라는 뜻입니다. 정의 전대미문은 크게 두 가지 측면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첫 번째 측면은 전례가 없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이전에 한 번도 없었던 일을 의미합니다. 두 번째 측면은 새로운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새롭고, 획기적인 일을 의미합니다. 예시 전대미문을 실천한 구체적인 예시로는 다음과..

일반상식 2024.01.09

자초지종(自初至終) 유래/정의/예시/활용 등

자초지종(自初至終) **자초지종(自初至終)**은 "처음부터 끝까지"라는 뜻으로, 어떤 일의 시작부터 끝까지의 과정을 모두 아울러 이르는 말입니다. 유래 자초지종은 중국의 고전인 《예기(禮記)》의 "의례편(儀禮篇)"에 나오는 말입니다. "의례편"에서는 "자초지종(自初至終), 無愆(無愆)."라는 구절이 나오는데, 이는 **처음부터 끝까지, 흠결이 없다.**라는 뜻입니다. 정의 자초지종은 크게 두 가지 측면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첫 번째 측면은 어떤 일의 시작부터 끝까지의 과정을 의미합니다. 이는 어떤 일이 어떻게 시작되었고, 어떻게 진행되었고, 어떻게 끝났는지에 대한 모든 과정을 의미합니다. 두 번째 측면은 흠결이 없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어떤 일을 할 때, 처음부터 끝까지, 아무런 잘못이 없는 것을..

일반상식 2024.01.09

즐풍목우(櫛風沐雨) 유래/정의/예시/활용 등

즐풍목우(櫛風沐雨) **즐풍목우(櫛風沐雨)**는 "바람을 헤치고 비를 맞는다"는 뜻으로, 어떠한 어려움에도 굴하지 않고, 꿋꿋하게 나아가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입니다. 유래 즐풍목우는 중국의 고전인 《논어(論語)》의 "위정편(爲政篇)"에 나오는 말입니다. "위정편"에서는 "즐풍목우(櫛風沐雨), 而有所成(而有所成)."라는 구절이 나오는데, 이는 **바람을 헤치고 비를 맞으면서, 일을 성취한다.**라는 뜻입니다. 정의 즐풍목우는 크게 두 가지 측면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첫 번째 측면은 어떠한 어려움에도 굴하지 않고, 꿋꿋하게 나아가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어떠한 어려움이 닥쳐도, 포기하지 않고, 계속 노력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두 번째 측면은 일을 성취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어떠한 노력을 통..

일반상식 2024.01.09

독불장군(獨不將軍) 유래/정의/예시/활용 등

독불장군(獨不將軍) **독불장군(獨不將軍)**은 "홀로 장군이 아니다"라는 뜻으로, 자신의 의견만 고집하고, 다른 사람의 의견을 듣지 않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입니다. 유래 독불장군은 중국의 고전인 《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에 나오는 말입니다. 《삼국지연의》에서는 조조(曹操)의 부하 장수인 장합(張郃)이, 자신의 의견을 고집하여, 패배를 초래한 이야기를 전하고 있습니다. 이 이야기에서 유래하여, "독불장군"이라는 말이 생겨났습니다. 정의 독불장군은 크게 두 가지 측면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첫 번째 측면은 자신의 의견만 고집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다른 사람의 의견을 무시하고, 자신의 의견을 관철시키려고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두 번째 측면은 다른 사람의 의견을 듣지 않는 것을 의미합니다. ..

일반상식 2024.01.09

견위수명(見危授命) 유래/정의/예시/활용 등

견위수명(見危授命) **견위수명(見危授命)**은 "위험을 보면 목숨을 바친다"는 뜻으로, 위험에 처한 사람을 구하기 위해, 자신의 목숨을 아끼지 않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입니다. 유래 견위수명은 중국의 고전인 《논어(論語)》의 "위정편(爲政篇)"에 나오는 말입니다. "위정편"에서는 "견위수명(見危授命), 仁之至也(仁之至也)."라는 구절이 나오는데, 이는 **위험을 보면 목숨을 바치는 것은, 인의 극치이다.**라는 뜻입니다. 정의 견위수명은 크게 두 가지 측면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첫 번째 측면은 위험에 처한 사람을 구하기 위해, 자신의 목숨을 아끼지 않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다른 사람을 위해, 자신의 목숨을 희생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두 번째 측면은 인의 극치를 의미합니다. 이는 인간의 도리..

일반상식 2024.01.09

인자무적(仁者無敵) 유래/정의/예시/활용 등

인자무적(仁者無敵) **인자무적(仁者無敵)**은 "자비로운 사람은 무적이 된다"는 뜻으로, 자비와 사랑의 마음으로 대하면, 어떤 어려움도 극복할 수 있다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입니다. 유래 인자무적은 중국의 고전인 《논어(論語)》의 "위정편(爲政篇)"에 나오는 말입니다. "위정편"에서는 "인자무적(仁者無敵), 而無敵也(而無敵也)."라는 구절이 나오는데, 이는 **자비로운 사람은 무적이 되는데, 그것은 무력으로 이기는 것이 아니라, 마음으로 이기는 것이다.**라는 뜻입니다. 정의 인자무적은 크게 두 가지 측면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첫 번째 측면은 자비와 사랑의 마음으로 대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다른 사람을 배려하고, 이해하는 마음으로 대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두 번째 측면은 마음으로 이기는 ..

일반상식 2024.01.09

일도양단(一刀兩斷) 유래/정의/예시/활용 등

일도양단(一刀兩斷) **일도양단(一刀兩斷)**은 "한 번의 칼질로 두 조각으로 나눈다"는 뜻으로, 어떤 문제를 단호하게 해결하고, 마무리하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입니다. 유래 일도양단은 중국의 고전인 《장자(莊子)》의 "인간세편(人間世篇)"에 나오는 말입니다. "인간세편"에서는 "일도양단(一刀兩斷), 而無餘(而無餘)."라는 구절이 나오는데, 이는 **한 번의 칼질로 두 조각으로 나누면, 더 이상 남는 것이 없다.**라는 뜻입니다. 정의 일도양단은 크게 두 가지 측면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첫 번째 측면은 단호하게 해결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어떤 문제를 미루거나, 흐지부지하게 처리하지 않고, 확실하게 해결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두 번째 측면은 마무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어떤 일을 시작했..

일반상식 2024.01.09

일취월장(日就月將) 유래/정의/예시/활용 등

일취월장(日就月將) **일취월장(日就月將)**은 "날로 나날이 발전한다"는 뜻으로, 매일매일 조금씩 발전하여, 결국에는 큰 발전을 이루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입니다. 유래 일취월장은 중국의 고전인 《장자(莊子)》의 "천지편(天地篇)"에 나오는 말입니다. "천지편"에서는 "일취월장(日就月將), 以至於無窮(以至於無窮)."라는 구절이 나오는데, 이는 **날로 나날이 발전하여, 결국에는 무한에 이른다.**라는 뜻입니다. 정의 일취월장은 크게 두 가지 측면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첫 번째 측면은 매일 조금씩 발전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작은 노력을 꾸준히 반복함으로써, 큰 발전을 이루는 것을 의미합니다. 두 번째 측면은 결국에는 큰 발전을 이루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꾸준한 노력을 통해, 결국에는 목..

일반상식 2024.01.09
728x90
반응형
LIST